최근 AI 업계에서는 고성능 모델의 오픈소스화와 비용 절감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LG의 '엑사원 3.5'와 중국의 '딥시크'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두 모델은 성능과 비용 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LG 엑사원 3.5의 특징
LG AI연구원은 2024년 12월, '엑사원 3.5'를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은 온디바이스용 초경량 모델(2.4B), 범용 목적의 경량 모델(7.8B), 특화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고성능 모델(32B) 등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20개 벤치마크 결과에서 실제 사용성, 장문 처리, 코딩,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 중 최고 성능을 보였습니다.
1. 성능 비교 – 엑사원 3.5가 앞선다?
LG 엑사원 3.5는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였습니다. 특히 코딩, 수학, 논리적 추론, 자연어 이해 등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일부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을 앞서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반면 딥시크 R1은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춘 모델로, 성능 자체는 오픈AI의 GPT-4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하지만 운영 비용이 현저히 낮아, 대규모 AI 모델을 운영해야 하는 기업들에게는 매력적인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정리
- 엑사원 3.5: 성능 중심,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우수한 결과
- 딥시크 R1: 비용 절감 중심, 가성비 높은 AI 모델
2. 비용 비교 – 딥시크 R1이 압도적으로 저렴
딥시크 R1은 AI 모델 운영 비용을 대폭 낮춘 것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 오픈AI o1 모델: 입력 100만 토큰당 15달러, 출력 100만 토큰당 60달러
- 딥시크 R1 모델: 입력 100만 토큰당 0.55달러, 출력 100만 토큰당 2.19달러
오픈AI 모델과 비교했을 때 약 90~95% 저렴한 가격입니다. 이는 대규모 AI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들에게는 매우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한편, LG 엑사원 3.5의 비용은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오픈소스로 제공되면서 개발자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높습니다.
정리
- 딥시크 R1: 운영 비용이 가장 저렴, 대규모 AI 서비스에 유리
- 엑사원 3.5: 오픈소스 모델, 연구 및 개발 목적으로 활용 가능
3. 활용 가능성 – 기업 vs 연구자
LG 엑사원 3.5는 오픈소스 모델이므로 개발자와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버전(2.4B, 7.8B, 32B)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경량 모델부터 고성능 모델까지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반면 딥시크 R1은 기업용 AI 솔루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AI 비용을 줄이려는 스타트업, 중소기업, AI 기반 서비스 기업들에게 매우 유용한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정리
- 엑사원 3.5: 연구 및 개발에 최적화, 다양한 규모의 모델 활용 가능
- 딥시크 R1: 기업용 AI 솔루션으로 강점, 비용 절감 효과 극대화
결론 –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 할까?
비교 항목LG 엑사원 3.5딥시크 R1성능 | 글로벌 벤치마크 상위권, 코딩 및 논리적 추론 강점 | 오픈AI GPT-4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 |
비용 | 오픈소스 제공, 서버 운영 비용은 별도 | 운영 비용이 GPT-4 대비 90~95% 저렴 |
활용 목적 | 연구 및 개발자 친화적, 다양한 모델 크기 제공 | 기업용 AI 서비스에 최적화 |
장점 | 다양한 AI 분야에서 활용 가능, 장기적인 연구 지원 | 대규모 AI 서비스 운영 시 비용 절감 효과 큼 |
결론
- 연구와 개발이 목적이라면 LG 엑사원 3.5가 더 적합
- 비용 절감이 중요한 기업이라면 딥시크 R1이 유리
최근 AI 시장은 고성능 AI vs 비용 절감 AI로 양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두 모델 모두 AI 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선택은 사용 목적과 예산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AI 모델을 선택할 때는 성능뿐만 아니라 운영 비용, 활용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AI 시장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모델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